Cultura Project 11

Tourist Places 한국:  롯데월드 한국에서 가장 큰 놀이공원은 롯데월드 입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 놀이공원 입니다. 롯데월드는 1989년에 열었습니다. 세상에 있는 인기 많은 놀이 공원 중 하나입니다. 매주 칠백 만명이 놀러 갑니다. 그리고 표는 쌉니다. 사람마다 ₩46,000 입니다. 놀이기구도 많고 아주 좋습니다. 롯데월드는 놀이공원만 있는 건 아닙니다. 백화점하고, 워터 파크, 호텔까지 많은 사업들 있습니다. …

Cultura Project 10

분주한 지하철 한국 한국 지하철은 사람이 너무 많고 바빠서 "지옥철"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동시에 수백만 명이 타서 지하철 타는것도 한 시간 넘습니다. 지하철 타면서 사람들이 보통 음악듣고, 핸드폰으로 영상보고, 신문을 읽습니다. 한국 지하철은 와이파이 있어서 가능 합니다. 제일 바쁜 시간이 지나면 조금 더 편하게 탈 수 있습니다. 이 시간쯤에 사람들 슬픈 인생 이야기를 나누면서 다른 승객한테 …

Cultura Project 9

호칭 한국 한국에서는 언어를 쓸때 나보다 나이가 많거나 처음본사이 또는 지위가 높은사람에게는 높임말 즉 존댓말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가족 아니어도 한국 사람들은 서로에게 호칭을 부릅니다. 어르신들께 "할머니" 하고 "할아버지" 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나이가 비슷한 사람끼리 형제 같은 호칭을 부릅니다. 나이가 더 많은 여자 분한테 호칭은 두가지 있습니다. 여자들 보통 언니라고 부르고, 남자들은 누나라고 부릅니다. 나이가 더 …

Cultura Project 8

지하철 서울 지하철 서울에는 차가 없어도 쉽게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중에서 지하철은 서울에서 가장 편안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지하철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매일 지하철을 타는 사람이 7백만 명이 넘습니다. 9호선까지 있습니다. 2호선은 가장 바쁩니다. 매일 2백만 명이 탑니다. 굉장히 빠르고 쌉니다. 보통 ₩1,250 내고 탈수 있습니다. 그리고 편안합니다. 서울 지하철은 넓고, 안전하고, 시원하고, 와이파이까지 …

Cultura Project 7

Age and Birthday Korea 한국 나이 계산하는 법은 조금 특이합니다. 한국 사람들은 태어나면 바로 한 살이 됩니다. 그리고 생일 아니고 1월 1일에 한 살더 먹습니다. 그래서 12월 31일에 태어난 아기가 다음날에는 2살 됩니다.  한국에서 특별한 생일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돌하고 환갑은 한국 사람들한테 중요한 생일입니다. 옛날에 아기들 한 살 되기전에 돌아갈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첫 생일까지 살았으면 …

Cultura Project 6

수도 서울 사울은 한국의 수도 입니다.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입니다. 인구가 천만 명이 넘습니다. 한국은 아주 작은 나라 입니다. 그런데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입니다. 1392년에 서울은 조선국의 수도가 되었습니다. 그때는 "서울"이 아니라, "한성"이라고 불렀습니다. 1948년도에 한국은 북한과 대한민국으로 나뉘었고, "서울"이 공식적인 이름이 되어버렸습니다. 너무나도 글로벌한 도시입니다. 1988년에 올림픽 대회를 진행 했고, 2002년에는 FIFA …

Cultura Project 5

추석 (Chuseok) vs. Thanksgiving 추석 Chuseok Chuseok is one of Korea’s largest holidays. It is a three-day harvest festival in which families gather together to give thanks to their ancestors for their blessings. The holiday is on the fifteenth day of the eighth month on the lunar calendar, therefore the date changes every year. On …

Cultura Project 4

Birthday Tradition: 미역국 (Miyeokguk) aka Seaweed Soup The Importance of Miyeokguk in Korean Culture Miyeokguk (미역국) is a seaweed soup that’s oftentimes served as a birthday celebration meal. It was traditionally consumed for the health benefits it serves to Korean mothers. The rich calcium content, alongside the iodine and omega acids, helped the mothers produce …

Cultura Project 3

Symbolic Flower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National Flower of South Korea: Hibiscus Syriacus The national flower of Korea is the Hibiscus Syriacus, also known as the Rose of Sharon. In Korean it is called 무궁화 which means the flower that never withers. The Rose of Sharon is able to withstand difficult …

Cultura Project 2

Dating Culture The fierce nature of South Korean education has made it very difficult for high schoolers to do anything more than study. This means that dating culture is pretty dismal until those students can get out of that competitive state. Thus, college is the perfect time for Korean youth to start dating and go …

Design a site like this with WordPress.com
Get started